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개발 블로그

[Programmers/파이썬]프로그래머스(Lv.1) 키패드 누르 문제풀이 본문

Algorithm

[Programmers/파이썬]프로그래머스(Lv.1) 키패드 누르 문제풀이

토산인 2023. 3. 3. 19:01

문제 설명

스마트폰 전화 키패드의 각 칸에 다음과 같이 숫자들이 적혀 있습니다.

이 전화 키패드에서 왼손과 오른손의 엄지손가락만을 이용해서 숫자만을 입력하려고 합니다.
맨 처음 왼손 엄지손가락은 * 키패드에 오른손 엄지손가락은 # 키패드 위치에서 시작하며, 엄지손가락을 사용하는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엄지손가락은 상하좌우 4가지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으며 키패드 이동 한 칸은 거리로 1에 해당합니다.
  2. 왼쪽 열의 3개의 숫자 1, 4, 7을 입력할 때는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3. 오른쪽 열의 3개의 숫자 3, 6, 9를 입력할 때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4. 가운데 열의 4개의 숫자 2, 5, 8, 0을 입력할 때는 두 엄지손가락의 현재 키패드의 위치에서 더 가까운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4-1. 만약 두 엄지손가락의 거리가 같다면, 오른손잡이는 오른손 엄지손가락, 왼손잡이는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순서대로 누를 번호가 담긴 배열 numbers, 왼손잡이인지 오른손잡이인 지를 나타내는 문자열 hand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각 번호를 누른 엄지손가락이 왼손인 지 오른손인 지를 나타내는 연속된 문자열 형태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numbers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
  • numbers 배열 원소의 값은 0 이상 9 이하인 정수입니다.
  • hand는 "left" 또는 "right" 입니다.
    • "left"는 왼손잡이, "right"는 오른손잡이를 의미합니다.
  •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한 경우는 L,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한 경우는 R을 순서대로 이어붙여 문자열 형태로 return 해주세요.

입출력 예numbershandresult
[1, 3, 4, 5, 8, 2, 1, 4, 5, 9, 5] "right" "LRLLLRLLRRL"
[7, 0, 8, 2, 8, 3, 1, 5, 7, 6, 2] "left" "LRLLRRLLLRR"
[1, 2, 3, 4, 5, 6, 7, 8, 9, 0] "right" "LLRLLRLLRL"
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

입출력 예 #1

순서대로 눌러야 할 번호가 [1, 3, 4, 5, 8, 2, 1, 4, 5, 9, 5]이고, 오른손잡이입니다.

왼손 위치오른손 위치눌러야 할 숫자사용한 손설명
* # 1 L 1은 왼손으로 누릅니다.
1 # 3 R 3은 오른손으로 누릅니다.
1 3 4 L 4는 왼손으로 누릅니다.
4 3 5 L 왼손 거리는 1, 오른손 거리는 2이므로 왼손으로 5를 누릅니다.
5 3 8 L 왼손 거리는 1, 오른손 거리는 3이므로 왼손으로 8을 누릅니다.
8 3 2 R 왼손 거리는 2, 오른손 거리는 1이므로 오른손으로 2를 누릅니다.
8 2 1 L 1은 왼손으로 누릅니다.
1 2 4 L 4는 왼손으로 누릅니다.
4 2 5 R 왼손 거리와 오른손 거리가 1로 같으므로, 오른손으로 5를 누릅니다.
4 5 9 R 9는 오른손으로 누릅니다.
4 9 5 L 왼손 거리는 1, 오른손 거리는 2이므로 왼손으로 5를 누릅니다.
5 9 - -  

따라서 "LRLLLRLLRRL"를 return 합니다.

 


사고 흐름

numbers를 돌면서 숫자에 따라 상황을 나눠야겠다

-> 1,4,7은 무조건 left, 3,6,9는 무조건 right, 그 외의 숫자는 left, right의 거리 구하고 비교해야한다

-> 엄지 손가락~해당숫자까지 거리는 어떻게 구할까?

-> 최단거리니까 bfs로 구하자!

-> 자잘한 에러가 많아서 수정하는데 시간이 걸렸다.

-> *, 0, #은 처리하기 어려워 숫자로 바꾸자 

 

문제 핵심과 알고리즘

숫자에 따라 케이스 나누고 키패드 숫자간 거리 구하기

def solution(numbers, hand):
    answer = ''
    left, right = 10, 12
    for (i, n) in enumerate(numbers) :
        if n==0 :
            numbers[i]=11
        elif n=="*" :
            numbers[i]==10
        elif n=="#" :
            numbers[i]==12
    nums = [[1, 2, 3], [4, 5, 6], [7, 8, 9], [10, 11, 12]]

    for n in numbers:
        if n == 1 or n == 4 or n == 7:
            left = n
            answer += "L"
        elif n == 3 or n == 6 or n == 9:
            right = n
            answer += "R"
        else:
            left_cnt = bfs(left, n, nums)
            right_cnt = bfs(right, n, nums)
            if left_cnt == right_cnt:
                if hand == "right":
                    right = n
                    answer += "R"
                else:
                    left = n
                    answer += "L"
            elif left_cnt < right_cnt:
                left = n
                answer += "L"
            else:
                right = n
                answer += "R"
    print(answer)
    return answer


def bfs(v, n, nums):
    q = [v]
    visit = [[0,0,0] for i in range(4)]
    visit[(v - 1) // 3][(v - 1) % 3] = 1
    dx = [-1, 1, 0, 0]
    dy = [0, 0, -1, 1]

    while q :
        if n in q :
            break
        now = q.pop(0)
        x=(now-1)//3
        y=(now-1)%3
        for i in range(4):
            nx = x + dx[i]
            ny = y + dy[i]
            if 0 <= nx <= 3 and 0 <= ny <= 2 and visit[nx][ny]==0 :
                q.append(nums[nx][ny])
                visit[nx][ny]+=visit[x][y]+1

    return visit[(n-1)//3][(n-1)%3]

문제 푸는데 헤맸던 부분

1. index 처리

  함수 안에서 사용하는 index를 다루는게 까다로웠다. 가독성이 정말 별론 것 같다. 숫자와 그 숫자의 좌표를 한번에 구하고 싶어서 //3, %3으로 계산했다. 딕셔너리를 생각했지만 별로인 것 같아서 안했는데,, 숫자와 그 좌표를 이렇게 왔다갔다 할거면 딕셔너리가 훨 보기좋울 것 같다.

 

다른 사람 풀이 참고하여 배운 점

def solution(numbers, hand):
    answer = ''
    key_dict = {1:(0,0),2:(0,1),3:(0,2),
                4:(1,0),5:(1,1),6:(1,2),
                7:(2,0),8:(2,1),9:(2,2),
                '*':(3,0),0:(3,1),'#':(3,2)}

    left = [1,4,7]
    right = [3,6,9]
    lhand = '*'
    rhand = '#'
    for i in numbers:
        if i in left:
            answer += 'L'
            lhand = i
        elif i in right:
            answer += 'R'
            rhand = i
        else:
            curPos = key_dict[i]
            lPos = key_dict[lhand]
            rPos = key_dict[rhand]
            ldist = abs(curPos[0]-lPos[0]) + abs(curPos[1]-lPos[1])
            rdist = abs(curPos[0]-rPos[0]) + abs(curPos[1]-rPos[1])

            if ldist < rdist:
                answer += 'L'
                lhand = i
            elif ldist > rdist:
                answer += 'R'
                rhand = i
            else:
                if hand == 'left':
                    answer += 'L'
                    lhand = i
                else:
                    answer += 'R'
                    rhand = i

    return answer

나는 최단 거리라고 생각하고 bfs를 사용했지만 여기서는 딕셔너리를 사용해 좌표 계산으로 거리를 구했다. 복잡한 문제에서는 내 방법이 효육적이겠지만, 이 문제는 간단한 문제라서 이렇게 좌표 계산으로 푸는게 훨씬 좋은 것 같다.

=> 좌표상 거리 구하는 방법

1. 좌표끼리 계산(간단하고 젤 중요한 방법!!)

2. bfs(최단거리나 장애물이 있어서 좌표계산 불가능할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