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개발 블로그

[Programmers/파이썬]프로그래머스(Lv.2) 소수 찾기 문제풀이 본문

Algorithm

[Programmers/파이썬]프로그래머스(Lv.2) 소수 찾기 문제풀이

토산인 2023. 3. 16. 18:03

문제 설명

한자리 숫자가 적힌 종이 조각이 흩어져있습니다. 흩어진 종이 조각을 붙여 소수를 몇 개 만들 수 있는지 알아내려 합니다.

각 종이 조각에 적힌 숫자가 적힌 문자열 numbers가 주어졌을 때, 종이 조각으로 만들 수 있는 소수가 몇 개인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numbers는 길이 1 이상 7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 numbers는 0~9까지 숫자만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013"은 0, 1, 3 숫자가 적힌 종이 조각이 흩어져있다는 의미입니다.
입출력 예numbersreturn
"17" 3
"011" 2
입출력 예 설명

예제 #1
[1, 7]으로는 소수 [7, 17, 71]를 만들 수 있습니다.

예제 #2
[0, 1, 1]으로는 소수 [11, 101]를 만들 수 있습니다.

  • 11과 011은 같은 숫자로 취급합니다.

사고 흐름

1. 주어진 numbers 문자열에서 가능한 모든 조합을 찾고 소수인지 판단한다

2. 먼저 가능한 모든 경우를 찾으므로 완전탐색 문제이고, 난 순열을 이용해 풀이

3. 순열로 만들어진 모든 경우를 돌며 소수인지 판단

 

문제 핵심과 알고리즘

주어진 문자열을 이용해 모든 경우를 탐색하는 완전탐색 문제 

from itertools import permutations
import math
def solution(numbers):
    answer = 0
    permut=set()
    
    for i in range(1, len(numbers)+1) :
        temp=list(permutations(numbers, i))
        for t in temp :
            n=''.join(t)
            if isprime(int(n)) and int(n) not in permut :
                answer+=1
                permut.add(int(n))
        
    return answer

def isprime(n) :
    if n==1 or n==0 :
        return False
    for i in range(2, int(math.sqrt(n))+1) :
        if n%i==0 :
            return False
    
    return True

문제 풀면서 헤맸던 부분

1. 순열 리스트 활용

permutations를 이용해 순열 리스트를 얻었고, 해당 리스트를 돌면서 각 경우에 대해 소수인지 판단해야한다. 근데 함수로 return 받은 순열 리스트 형식이 튜플이라서 문자열로 바꾸는게 조금 어색했다. 

 

총평

완전 탐색 문제가 이제 조금 감이 오는 것 같다. 완전 탐색 문제에서는 리스트나 딕셔너리 활용같은 자잘한 문법에 대한 지식이 많을 수록 잘 풀이할 수 있을 것 같다